
새 교육과정에 맞춰 새롭게 찾아뵙겠습니다
설마... 아직도 대부분의 천체문제를 천구만 그려서 푸시지는 않겠죠??? 천구를 그리지 않고도 어려운 천체문제들을 훨씬 더 쉽게 풀 수 있는 바로 그 방법론!! 맛보기 파일부터 차근차근 읽어보시고 구입해주시기 바랍니다. 맛보기 파일 링크 : https://orbi.kr/00024250991
가격
11,000원
이 전자책은 현재 1,721,000원의 수익을 올렸습니다.
※ 전자책(PDF)입니다. 자료는 다운로드 받으면 환불/취소가 불가합니다. 신중하게 구매해주세요.
책 소개
이 책은 n제와 같은 문제집이 아닙니다.
한 사람의 소중한 생각과 노하우를 전수하기 위한 책이며,
고액 과외를 받는다고 해도 손색이 없을 정도로 친절하고, 자세하며, 유기적입니다.
swkmiki123의 수험생 시절, 그의 천체세계관(?)이 어떠했는지
그리고
swkmiki123이 천체문제들을 빠르고 쉽게 풀 수 있었던 그 방법론
에 관해 적나라하고 자세하게 설명하고,
그 방법론을 직접 체화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고퀄리티 책입니다.
지구과학 만점자들도 내용을 보고 만장일치로 감탄하였으며,
그 어떠한 인강이나 개념서에서도 나오지 않는,
아주 쉬우면서도 기가 막힌 풀이법들이 담겨 있습니다.
본 책에 담긴 풀이법들은 정말로 ‘금방’ 체화가 가능하고,
우주의 실질적 ‘이해’를 제대로 할 수 있는 최적의 풀이법이며,
풀이법을 체화한다면, ‘이해’를 기반으로 한 ‘암기’를 통해
천체문제들을 정말로 술술 풀 수 있게 됩니다.
총 69쪽 분량이지만,
한 페이지마다 그 내용과 깊이는 그 어떠한 책보다 심오하며,
내용을 읽어보시면 아시겠지만,
책을 구매했다고 후회할 일은 절대로 없습니다.
만족도 99.999...% 보장합니다.
천체의 신세계로 입문하시기 바랍니다.
더 자세한 소개글 링크 : https://orbi.kr/00024314907
(맛보기 파일, 후기글 링크가 담겨있습니다)
한 사람의 소중한 생각과 노하우를 전수하기 위한 책이며,
고액 과외를 받는다고 해도 손색이 없을 정도로 친절하고, 자세하며, 유기적입니다.
swkmiki123의 수험생 시절, 그의 천체세계관(?)이 어떠했는지
그리고
swkmiki123이 천체문제들을 빠르고 쉽게 풀 수 있었던 그 방법론
에 관해 적나라하고 자세하게 설명하고,
그 방법론을 직접 체화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고퀄리티 책입니다.
지구과학 만점자들도 내용을 보고 만장일치로 감탄하였으며,
그 어떠한 인강이나 개념서에서도 나오지 않는,
아주 쉬우면서도 기가 막힌 풀이법들이 담겨 있습니다.
본 책에 담긴 풀이법들은 정말로 ‘금방’ 체화가 가능하고,
우주의 실질적 ‘이해’를 제대로 할 수 있는 최적의 풀이법이며,
풀이법을 체화한다면, ‘이해’를 기반으로 한 ‘암기’를 통해
천체문제들을 정말로 술술 풀 수 있게 됩니다.
총 69쪽 분량이지만,
한 페이지마다 그 내용과 깊이는 그 어떠한 책보다 심오하며,
내용을 읽어보시면 아시겠지만,
책을 구매했다고 후회할 일은 절대로 없습니다.
만족도 99.999...% 보장합니다.
천체의 신세계로 입문하시기 바랍니다.
더 자세한 소개글 링크 : https://orbi.kr/00024314907
(맛보기 파일, 후기글 링크가 담겨있습니다)
저자 소개
지구과학1 19학년도 반수 시작, 6평 23점, 19학년도 9평 및 19학년도 수능 1등급
연세대학교 공학수학, 공학화학, 공학생물 전부 A 이상
오르비 닉네임 : swkmiki123
수학가형공부법, 생1공부법, 지1공부법 칼럼 및 정보글 작성
연세대학교 공학수학, 공학화학, 공학생물 전부 A 이상
오르비 닉네임 : swkmiki123
수학가형공부법, 생1공부법, 지1공부법 칼럼 및 정보글 작성
목차
Ⅰ. 적도 좌표계를 이해하는 데 기본이 되는 익숙한 그림
Ⅱ. 특정 천체의 적위값을 판별하는 간단한 방법 및 생각에 대하여
Ⅲ. [필자(swkmiki123)가 실전에서 사용하는 천체의 적위/적경값 판별 풀이법]이 고안된 과정
Ⅳ. [필자(swkmiki123)가 실전에서 사용하는 천체의 적위/적경값 판별 풀이법 + 풀이법을 적용한...
황도에 대한 이해
황도 12궁에 대한 이해
우주의 방대성에 대한 이해
제대로 된 기출문제 분석 및 적용 1
지평 좌표계와 적도 좌표계에 대한 이해와 연습
위도별 낮과 밤에 대한 이해
지구에서의 시간에 대한 이해
제대로 된 기출문제 분석 및 적용 2
백도에 대한 이해
일식과 월식 현상에 대한 이해
위상변화에 대한 이해와 연습
제대로 된 기출문제 분석 및 적용 3
to be continued...
Ⅱ. 특정 천체의 적위값을 판별하는 간단한 방법 및 생각에 대하여
Ⅲ. [필자(swkmiki123)가 실전에서 사용하는 천체의 적위/적경값 판별 풀이법]이 고안된 과정
Ⅳ. [필자(swkmiki123)가 실전에서 사용하는 천체의 적위/적경값 판별 풀이법 + 풀이법을 적용한...
황도에 대한 이해
황도 12궁에 대한 이해
우주의 방대성에 대한 이해
제대로 된 기출문제 분석 및 적용 1
지평 좌표계와 적도 좌표계에 대한 이해와 연습
위도별 낮과 밤에 대한 이해
지구에서의 시간에 대한 이해
제대로 된 기출문제 분석 및 적용 2
백도에 대한 이해
일식과 월식 현상에 대한 이해
위상변화에 대한 이해와 연습
제대로 된 기출문제 분석 및 적용 3
to be continued...
※ 다운로드 오류 : 상품관리자에게 쪽지보내기
※ 내용 문의 : 댓글 다세요
※ 내용 문의 : 댓글 다세요
19:47:14
23:55:19
19:11:08
15:34:08
인강듣는것도 안좋아하고 천체 인강들으려면 기본 10강이상..
천체 개념책 인터넷에 찾아봤는데 없음 그러다가 이거 보게됐는데 사길잘한듯
완전 천체 노베이스면 \좀 이해하기 힘들꺼같고 대충 훑어본 정도?면 이해하기 좋을꺼같음
아무튼 돈값하는듯 굿굿
11:54:53
23:49:46
13:58:21
13:39:38
15:41:33
08:47:43
05:10:46
책을 다 읽는 데에는 10시간도 걸리지 않을 것입니다.
인강은 빡세게 듣고 인강의 내용이 어느 정도 이상 기억이 날 때, 바로 책을 3일정도 투자하여 쭉 읽어주시면 효율이 극대화될 것입니다 :) swkmiki123 | 2019.09.11 21:07:32
05:07:48
13:49:14
16:37:56
00:45:04
10:56:42
그러나,
본 전자책은 ‘일반적인’ 개념서가 아닙니다.
본 전자책은 천체를 아주 쉽게 이해하는 ‘방법론’을 처음부터 끝까지 알려드리는 책입니다.
어떠한 ‘방법론’을 알려드린다는 것은,
필요한 개념만 유기적으로 엮었다는 의미입니다.
그래서 일반적인 개념서보다는 훨씬 더 친절하고 유기적인 책이 되겠습니다.
또한,
이 전자책은 노베들에게 크게 다음 세 가지의 개념을 처음부터 잘 잡으라고 집필한 전자책입니다 :
1. 우주의 공간상 이해 2. 적도 좌표계 3. 달
이때,
천체노베들에게는 1. 과 2. 의 개념이 ‘처음부터 잘 잡혀야’ 앞으로도 다양한 천체문제들을 쉽게 이해하고 받아들일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 다루는 그 어떠한 인강이나 개념서가 없습니다.
이것이 학생들이 천체를 어려워하는 주된 이유 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이 전자책은 1. 과 2.의 개념을 정말로 자세히 다룸으로써 천체를 ‘처음부터 쉽게 이해’하고,
앞으로 천체를 공부하는 데 들여야 하는 시간을 현저히 단축해주는 역할을 하게 될 것입니다.
(이 책의 가장 큰 장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책에 설명돼있는 방법론으로 몇몇 기출문제에 적용하는 방법을 아주 자세히 알려줍니다.
아무리 천체노베라고 해도 책에 실려 있는 기출문제는 정말로 제대로 정복하실 수 있을 것이며,
문제가 담고 있는 논리는 앞으로 ‘자연스럽게’ 이해가 될 것입니다.
이 전자책은 기본부터 심화내용까지 차근차근 유기적으로 내용이 구성돼 있고,
많은 그림으로 천체의 세계관을 알려 주기 때문에,
아무리 천체노베라 해도 책을 끝까지 다 읽는 데 이해가 가지 않는 부분이 있다고 하신 분이 여태껏 없었습니다.
책을 한 번 다 읽으시면 앞으로 어려운 천체문제들을 풀어내는 데 정말로 좋은 도구를 얻어가실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이유로 이 전자책은 모든 천체노베들에게 강력히 추천하는 책이 되겠습니다. swkmiki123 | 2019.09.03 20:56:43
01:14:19
그래서 [하짓날일 때 태양의 적위값]이 [지구가 공전궤도의 원일점에 있을 때 태양의 적위값]보다 큰 것이고, 그 값이 +23.5°인 거에요.
그래서 [지구가 공전궤도의 원일점에 있을 때의 태양의 적위값]은 +23.5도보다 조금 더 작습니다.
p.13 오른쪽 문단 중간부분의 작은 글씨 마지막 부분에 쓰여 있듯이,
지구가 태양과의 거리가 가장 먼 곳에 있다고 해서 지구의 z좌표값도 가장 작은 게 아니에요!!
즉 북극성이 있는 쪽에서 태양계를 내려다봤을 때, 지구가 원일점에 있다고 해서 가장 멀리 있는 것처럼 보이는 게 아니라는 것이죠.
이는 지구의 공전궤도가 ‘완벽한’ 원이 아니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고,
잘 받아들여지지 않을 수 있지만, 생각을 잘 해보시면 됩니다 :) swkmiki123 | 2019.09.09 20:32:43
15:18:10
11:3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