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구과학2 지엽 필기노트(올인원)
지구과학2 지엽의 끝판왕
가격
7,900원
이 전자책은 현재 186,727원의 수익을 올렸습니다.
※ 전자책(PDF)입니다. 자료는 다운로드 받으면 환불/취소가 불가합니다. 신중하게 구매해주세요.
책 소개
1.2013~2016년 ebs 연계교재 지엽 총정리
2.교과서에 있는 중요하다싶은 지엽
3.기타 시중 개념서
4.기출중에 외워야만푸는거
5.지2같은경우 기본개념인데 어려운것
6.2013~2016 사설 모의고사(ㄷ성,ㅈ로,ㅇ투ㅅ 등등)
7.기타커뮤니티사이트에서 해온 지엽 ox퀴즈
8.지금껏들었던 인강 지엽적인거
제가 수험생활하면서 아 이거 참 독특하다,참신하다,지엽적이다,어렵다 싶었던거 한권에 정리한 자료입니다. 이 자료 하나면 지엽적인거 찾아다니려고 여기저기 다니실필요없으십니다.
고민되시면 맛보기자료를 보신뒤에 결정하셔도 좋습니다!!
<오타수정>
3페이지 편동풍 관련해석에서 오해가 있을수있습니다. 해석은 지상풍바람으로 하는게 맞지만 실제로는
지상풍이아닙니다! 다만 문제풀때는 지상풍으로 해석하시고 풀면됩니다~
2.교과서에 있는 중요하다싶은 지엽
3.기타 시중 개념서
4.기출중에 외워야만푸는거
5.지2같은경우 기본개념인데 어려운것
6.2013~2016 사설 모의고사(ㄷ성,ㅈ로,ㅇ투ㅅ 등등)
7.기타커뮤니티사이트에서 해온 지엽 ox퀴즈
8.지금껏들었던 인강 지엽적인거
제가 수험생활하면서 아 이거 참 독특하다,참신하다,지엽적이다,어렵다 싶었던거 한권에 정리한 자료입니다. 이 자료 하나면 지엽적인거 찾아다니려고 여기저기 다니실필요없으십니다.
고민되시면 맛보기자료를 보신뒤에 결정하셔도 좋습니다!!
<오타수정>
3페이지 편동풍 관련해석에서 오해가 있을수있습니다. 해석은 지상풍바람으로 하는게 맞지만 실제로는
지상풍이아닙니다! 다만 문제풀때는 지상풍으로 해석하시고 풀면됩니다~
저자 소개
지구과학1,2만 4년차인 수험생입니다.
목차
목차는없습니다! 말그대로 지구과학2의 모든 지엽을 모은 백과사전입니다
저자의 다른 책
※ 다운로드 오류 : 상품관리자에게 쪽지보내기
※ 내용 문의 : 댓글 다세요
※ 내용 문의 : 댓글 다세요
06:14:53
우선 지1 자료 후반부 입니다
빅뱅 이후 우주의 팽창속도는 급격히 증가:no 라고 적혀있는데 인플레이션이란 시기가 있어서 급격히 증가한 시기가 있는걸로 압니다 이는 우주시작(빅뱅) 거의바로 일어났구요
쿠로시오해류=리만해류라고 써있는데 쿠로시오해류는 난류이고 리만해류는 한류인데 어떻게 같은가요?다른해류로 알고있습니다
태양의 대기 관측은 가시광선보다 적외선이 유리하다고 써있는데요 왜그런건가요? 태양의 대기에는 가시광선보다 파장이 짧은 전자기파들이 방출될텐데 말입니다 우주만원경으로 본다하면 대기관찰은 자외선, x선등으로 보는게 더 타당한것같아서요
도플러효과 관련해서 별과 행성의 질량이 같을때 행성의 공전궤도 반경이 커진다는 내용이있는데 잘 이해가 가질 않아서요 그리고 표시된 A가 작아진다는게 공전주기가 짧아진다는것인데 그러면 행성의공전속도는 빨라지고 행성의공전궤도 반경은 작아지는 것 아닌가요?
러브키빌->토양오염이라고 써있는데 러브키빌이 무엇인가요? 네이버에 쳐도 뜨질 않습니다
지2 전반부 내용입니다
식현상에서 별의 각거리가 가장 클때 스펙트럽 편이량이 가장크다 라고 써있는데요 이는 도플러효과 관련현상아닌가요? 식현상에서는 별의 밝기가 달라지는것이지 별빛의 스펙트럼의 변화는 생기지 않아서요
달의 거리가 멀어지면 공전속도가 느려져서 조석주기가 짧아진다 라고 써잇는데요 공전속도가 느려지면 공전주기가 더 길어지니까 오히려 더 조석주기는 길어지는거 아닌가요?
지1 자료 초반부 입니다
대륙 대륙 충돌대에서 심발지진 (ㅇ) 화산(X)라고 써있는데 대륙대륙충돌대에서는 중발지진 까지밖에 일어나지 않습니다 오지훈선생님 작년도차 실전문제 개념을 많이 차용하신것같은데 오지훈선생님 필기에서 중발지진까지라고 적혀있습니다
성층권에 가장 많은 기체는 O3가 아니라고 되어있는데요 성층권에도 그러면 질소가 가장많은 비율을 차지하나요?
P파->수직 S파->수평이라고 되있는데 반대로 써있는것같습니다
이 페이지 뒤에 위도가 증가하면 회전주기가 감소한다라는 주변내용에 다소 어울리지않는 필기가 있는데요? 어떤것에 관한 내용인가요? 대충 태양이라고 저는 봤는데 태양은 위도가 증가하면 회전주기가 길어져서요, 태양이 아니고 지구와 같은 표면에 땅이있는 행성이라면 회전주기는 위도가 증가해도 변함이 없을거구요. 잘못들어가있는게 아닌가 생각이 듭니다
지진계 수직동은 1대만 필요 수평동은 2대가 필요하다고 적혀있는데 무슨 말인가요? 이번 교육과정내에 포함된 내용맞나요? 혹시 앞에 언급한 S파 수평 P파 수직이 이 내용을 의미하는건가요?
지2 후반부 내용입니다
지구와 행성 A까지 거리가 4pc 행성A와 행성 B까지 거리가 6pc일때 밝기가 2.5^2배 차이가 난다고 되어있는데 이는 계산실수인것같고 6pc이 아닌 10pc이어야 거리가 2.5배 차이나서 밝기가 1/2.5^2배가 되므로 수정해아합니다
지1 지2 내용이 많이 혼재되있어서 지1따로 지2 따로 공부하는 학생들에겐 다소 낯설수있는내용이 지1에는 지2내용이 지2에는 지1내용이 들어가 불편함이있을것같습니다(저 같은 지1,지2선택자가 아니라면) 내용을 분리시켜서 올려줬으면좋겠네요.. 답변주시면감사하겠습니다
2.아마 쿠로시오해류와 리만해류가 만나는것을 그렇게 표기한것같네요. 둘이만나서 조경수역을 이루거든요. 당연히 둘은 달은 해류입니다.
3.일단 이거는 보류합니다. 사진을찍은걸봐야알것같아요. job038@naver.com 으로 보내주세요
님말한대로 해석하는게 일단옳은것같습니다. 가시광선 영역으로는 표면관측이 유리하고 대기관측은 주로 x선,자외선이 맞습니다.적외선은 주로 멀리떨어진 은하정도 관측할떄 유리한거구요. 대기관측에유리한지는 저도 자료보고 판단해봐야 알것같습니다.
4.도플러효과에서 별의질량이 일정할떄,행성의 질량이 증가하면 별의 회전반경은 증가하고 행성의 회전반경은 감소합니다. 공통질량중심 개념을 떠올려보시면 이해가 가실겁니다. 만약 별의질량과 행성의질량이 일정하면 별의 공통질량중심으로부터 떨어진 거리가 같으므로 별과 행성의 회전반경은 동일해집니다.
5.러브커넬입니다. 죽음의땅이라고도하죠
6.식현상도 결국 행성이 별을 공전하면서 생기는것이므로 도플러효과도 함꼐수반된다고 해석한것같습니다.
7.조석주기가 12시간이 아니라 12시간 25분이라는 사실 아마 지2 유저이므로 배우셨을겁니다.
왜 25분이 더추가되었는지 생각해보세요. 달이 그만큼 움직였으니 25분이 추가된거겠죠?
근데 달이멀어졌으니 그만큼 공전주기가 느려진경우를생각해봅시다. 공전속도가 느려졌으니 예전보다 덜움직일겁니다. 그럼 한 주기가 될떄까지시간은 더 적은 거리를 움직이면되니 당연히 주기는 짧아지겠죠?
8.이건 2014학년도 부터 교과개정 바뀌면서 생긴 오해같습니다. 이전교과서에서는 천발/심발로만 나누고 중발이라는개념은 사실상 심발안에포함된개념이었습니다. 옛기출풀어보시면 심발이맞다는 표현이 나오거든요. 근데 님말씀대로 이게 교과과정이 개편되면서 천발/중발/심발로 디테일하게 나누게되면서 중발까지만 맞는거로 바뀌었습니다.
중발로 고치셔서 풀면 무리없을것같습니다.
9.100km 내의 대기를 균질권이라하는데 균질권에서 제일많은기체는 N2 입니다. 단순 O3의 양만비교하면 당연히 성층권이제일많겠지만 가장많은대기를 고르라하면 닥질소입니다.
10.이건저도잘....메일로보내주세요
11.한마디로 동서방향/남북방향/위아래 이렇게 3개의 지진계가있어야 관측할수있다는얘기입니다.
12.네 수정부탁드립니다.
13.저도 이부분에있어서는 드릴말씀이없네요..저도 지1,지2선택자다보니 지1지2 순서없이 뒤죽박죽하던거 억지로
나눈감도없지않아있어서 죄송스럽게생각드립니다. 내년에 시간될떄 제대로정리해서 개정해서 올릴예정입니다.
외박나와서 미흡하게나마 답변드립니다
루드굴리트 | 2017.08.04 11:29:51
19:39:22
19:38:31
14:48:50
워드로 타이핑하면 더좋을것 같아요.
08:18:44